-
KB주간시계열 차트를 정기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2주 만에 분석을 하는데 2주 전과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매가격 상승지역 / 하락지역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은 강남구 0.39%, 과천 0.35%, 양천구 0.34%입니다.
여전히 강남구, 과천, 양천구의 상승이 높습니다. 대부분의 상승은 서울지역입니다.
금주 하락률 상위 지역은 부산 금정구 -0.29%, 대구 서구 -0.21%, 광양 -0.21%입니다.
지난주에 이어서 부산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세가격 상승지역 / 하락지역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은 울산 남구 0.33%, 강동구 0.25%, 용산구 0.24%입니다.
울산 남구의 상승세가 유독 높았습니다.
금주 하락률 상위 지역은 대구 서구 -0.37%, 대전 서구 -0.33%, 당진 -0.29%입니다.
대구 서구의 하락이 상당히 높게 나왔습니다.
아파트 매매가격증감률
매매가격증감률이 수도권이 0.03%로 전주 대비 하락하였습니다.
지난주 0.04%였습니다.
전국은 0.00%로 전주 대비 유지하였습니다.
지난주 0.01%였습니다.
서울의 상승은 여전히 높게 나왔습니다.
세종, 울산, 전북이 소폭 상승하였고, 나머지 지역들은 모두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주에는 광주의 하락이 가장 높았습니다.
엑셀 파일을 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서울의 상승세가 꺾인 걸 볼 수 있습니다.
상승세가 옅어지는걸 볼 수 있습니다.
상승은 강남구, 양천구, 종로구, 성동구의 상승이 높게 나왔습니다.
하락으로 전환된 곳도 금천구, 노원구, 강북구로 지역이 개수가 증가하였네요.
아파트 전세가격증감률
전세가격증감률이 수도권이 0.03%로 전주대비 유지하였습니다.
지난주 0.03%였습니다.
전국은 0.01%로 전주 대비 유지하였네요.
지난주 0.01%였습니다.
전세는 지속적으로 울산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울, 충북, 광주 순으로 높았습니다.
이번 주는 대전의 하락률이 가장 높았네요.
상승은 강동구, 용산구, 종로구, 관악구가 높았습니다.
하락은 금천구, 성북구, 강북구가 높았네요.
금천구는 매매하락, 전세하락 모두 높게 나왔습니다.
매수자 / 매도자 동향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가 많다"를, 100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합니다.
서울지역은 51.5로 전주 대비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지난주 53.1였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되면서 서울 매수우위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도와 인천은 유지정도로 보입니다.
5대 광역시중에서는 울산이 가장 높습니다.
울산은 전세가격의 상승으로 매수우위지수를 밀어 올리는 것 같네요.
전세 수급 동향
전세수급지수는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부족" 비중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전세수급지수 140을 넘게 나온 지역들을 정리했습니다.
인천, 울산, 충북, 전북, 전남, 제주도입니다.
전주대비 광주가 빠졌습니다.
전세수급지수는 전국이 137.4로 전주 대비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100을 넘었기에 전세수급이 아직 부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 현황 (매매 / 전세)
결론
이번주 KB주간시계열 차트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서울의 상승세가 적어지는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변화될지 궁금하네요.
KB주간부동산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하단 링크를 참고하세요!!
지난번 KB주간부동산 자료를 같이 참고해 보세요!!
KB주간시계열 차트 25년 4월 4일 / 과천 강남구 용산구 상승
부동산 흐름을 보기에 가장 좋은 데이터가 있는데요.바로 KB부동산에서 작성하는 KB주간시계열 차트입니다. 저는 매주 KB주간시계열 차트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매주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
namdar15.com
반응형'부동산 > KB주간시계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주간시계열 차트 25년 4월 4일 / 과천 강남구 용산구 상승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