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흐름을 보기에 가장 좋은 데이터가 있는데요.
바로 KB부동산에서 작성하는 KB주간시계열 차트입니다.
저는 매주 KB주간시계열 차트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매주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매매가격 상승지역 / 하락지역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은 과천 0.58%, 강남구 0.58%, 용산구 0.37%입니다.
지난주에 비슷한 과천, 강남구, 용산구, 서초구 등 핵심지역들의 상승이 높았네요.
금주 하락률 상위 지역은 대전 동구 -0.31%, 부산 금정구 -0.26%, 부산 해운대구 -0.17%입니다.
지난주에 이어서 대전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세가격 상승지역 / 하락지역
금주 상승률 상위 지역은 서울 중구 0.24%, 구리 0.21%, 종로구 0.21%입니다.
서울 중구의 상승이 높았네요.
금주 하락률 상위 지역은 대전 동구 -0.22%, 당진 -0.15%, 대전 중구 -0.13%입니다.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대전의 하락이 높았습니다.
아파트 매매가격증감률
매매가격증감률이 수도권이 0.04%로 전주 대비 하락하였습니다.
지난주 0.08%였습니다.
전국은 0.00%로 전주 대비 소폭 하락하였네요.
지난주 0.01%였습니다.
서울의 상승은 여전히 높게 나왔습니다.
울산, 강원, 충북이 소폭 상승하였고, 나머지 지역들은 모두 유지 및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주에는 제주도의 하락이 가장 높았습니다.
엑셀 파일을 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서울의 상승세가 살짝 꺾인 걸 볼 수 있습니다.
상승색이 옅어지는걸 볼 수 있는데요.
상승은 강남구, 용산구, 서초구, 성동구의 상승이 높게 나왔습니다.
하락은 금천구만 하락을 기록했네요.
아파트 전세가격증감률
전세가격증감률이 수도권이 0.03%로 전주대비 유지하였습니다.
지난주 0.03%였습니다.
전국은 0.01%로 전주 대비 유지하였네요.
지난주 0.01%였습니다.
전세는 울산의 상승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네요.
서울, 충북, 부산 순으로 높았습니다.
이번 주는 충남의 하락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상승은 중구, 종로구, 강동구, 영등포구가 상승이 높았습니다.
하락은 금천구, 성북구, 동대문구의 하락이 높았네요~
매수자 / 매도자 동향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초과할수록 "매도자가 많다"를,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가 많다"를 의미합니다.
서울지역은 53.1로 지난주 대비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지난주 69.4였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풀렸다가 다시 재지정되면서 매수우위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도도 마찬가지로 소폭하락하였고, 인천은 유지하였네요.
5대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이 가장 높습니다.
울산은 전세가격의 상승으로 매수우위지수도 조금식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 수급 동향
전세수급지수는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부족" 비중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전세수급지수 140을 넘게 나온 지역들을 정리했습니다.
인천, 광주, 울산, 충북, 전북, 전남, 제주도입니다.
지난주 대비 강원도, 충남은 제외되었습니다.
전남, 제주도는 추가되었습니다.
전세수급지수는 전국이 137.2로 전주 배디 소폭 하라였습니다.
100을 넘었기에 전세수급이 아직 부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 현황 (매매 / 전세)
결론
이번주 KB주간시계열 차트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서울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되면서 서울의 하락이 보였습니다.
KB주간부동산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하단 링크를 참고하세요!!
반응형'부동산 > KB주간시계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주간시계열 차트 25년 4월 18일 / 강남구 과천 양천구 상승 (1) 2025.04.20